협심증 원인·증상부터 Troponin·CKMB 검사 해석까지(의료재단 실무자가 전하는 진짜 임상 검사 이야기)안녕하세요.저는 의료재단에서 근무하며 매일 병원과 검사실에서 다양한 심혈관계 검사를 다루고 있습니다.그중에서도 협심증(Angina Pectoris) 관련 검사는 가장 긴박하면서도 정확도가 생명인 분야입니다.오늘은 협심증이란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심근 손상을 진단하는 Troponin·CK-MB 검사까지 임상병리 중심으로 깊이 다뤄보겠습니다. 🫀 협심증이란?협심증은 심장 근육(심근)에 일시적으로 혈류가 부족해지는 질환입니다.즉, 심장을 먹여 살리는 관상동맥이 좁아져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죠.이때 심장은 ‘숨이 막히는 듯한 통증’으로 신호를 보냅니다.가슴을 조이는 듯한 통증이..
풍진(Rubella) 가이드 — 정의·증상·진단검사·예방저는 의료재단 소속으로 매일 많은 병원과 의원을 방문하며 다양한 감염병 검사를 접합니다.그중에서도 임신부 대상 산전 검사에서 풍진 항체(Rubella antibody) 검사는 빠지지 않는 중요한 항목입니다.오늘은 풍진이 어떤 질환인지, 그리고 Rubella 검사를 포함한 임상병리적 진단과 예방까지 자세히 정리해보았습니다. 1️⃣ 풍진이란?원인 바이러스: Rubella virus (Togaviridae과)전파 경로: 비말(기침, 재채기 등) 또는 태반을 통한 수직 감염(모체→태아)잠복기: 약 14~21일풍진은 과거엔 흔했지만, MMR 백신(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도입 이후 크게 줄었습니다.하지만 백신 미접종자, 면역 저하자, 또는 예방접종력 불명..
🧬 NIPT(비침습 산전 유전자 검사) — 태아의 유전 건강을 미리 확인하는 가장 안전한 선택의료재단 근무자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문 가이드임신 소식을 처음 듣는 순간, 부모의 마음속에는 기쁨만큼이나 걱정도 함께 찾아옵니다.“우리 아기는 건강할까?”이 물음에 가장 과학적으로, 그리고 안전하게 답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NIPT(비침습 산전 유전자 검사)**입니다.저는 의료재단에서 근무하며 매일 수많은 산전 검사를 접합니다.그중에서도 최근 몇 년간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검사가 바로 NIPT,그중에서도 **더맘스캐닝 플러스**입니다.오늘은 실제 검사 과정과 임상병리학적 원리를 바탕으로이 검사가 왜 ‘예비 부모들의 필수 검사’로 자리 잡았는지 이야기해보겠습니다. 🔬 NIPT의 원리 — 산모 혈액..
가을철 발열 질환 총정리: 쯔쯔가무시 · 렙토스피라 · 신증후군 출혈열증상·전파·진단검사 중심 가이드가을이 되면 등산, 야외 활동 등이 많아지며, 쯔쯔가무시,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 출혈열(HFRS) 같은 발열질환 환자가 급증합니다.의료재단에서 여러 병원을 순회하며 검사 결과를 확인하다 보면, 이 질환들이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날 때가 많아 헷갈릴 때도 많습니다.그래서 오늘은 이 세 질환을 차례대로 소개하고, 특히 진단을 위한 임상병리검사를 중심으로 깊이 있게 정리해드릴게요. 1. 쯔쯔가무시증 (Scrub Typhus)🔍 개요 및 임상 특징원인균: Orientia tsutsugamushi (이전 Rickettsia 계열)매개체: 털 진드기(chigger) 유충잠복기: 약 6~21일증상: 고열, 두통, ..
르스(MERS) 완전 가이드 — 정의부터 진단검사까지제가 의료재단 소속으로 여러 병원과 의원을 순회하다 보면, 호흡기 증상을 가진 환자가 생길 경우 국제여행 이력이나 중동 지역 노출 여부를 먼저 확인하곤 합니다. 바로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기 때문입니다.메르스는 흔한 감염병은 아니지만, 치명률이 높고 전파 가능성이 있는 질환이어서 조기 진단과 격리·치료 체계가 매우 중요합니다.이 글에서는 메르스의 개념부터 증상, 전파 경로, 그리고 핵심인 임상병리/분자 진단검사를 중심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메르스란 무엇인가?메르스는 코로나바이러스 계열(MERS-CoV) 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감염증입니다. 처음 보고된 것은 2012..
💧 콜레라(Cholera), 여전히 존재하는 위험한 수인성 감염병– 의료현장에서 본 진단과 검사 이야기 –안녕하세요.저는 의료재단에서 근무하며 매일 수십 곳의 병원과 의원을 방문합니다.현장에서 다양한 감염성 질환 검체를 다루다 보면,요즘에도 간헐적으로 신고되는 콜레라 환자 검체를 접할 때가 있습니다.“콜레라라니, 요즘에도 있나요?” 하고 묻는 분들이 많지만,해외유입과 식수 오염 등으로 국내에서도 여전히 주의해야 하는 감염병입니다. 🦠 콜레라란 무엇인가?콜레라는 비브리오 콜레라균(Vibrio cholerae)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장 감염증입니다.주로 오염된 물이나 음식(특히 덜 익은 해산물)을 통해 감염됩니다.감염 후 1~3일의 잠복기를 거쳐,심한 물설사(‘쌀뜨물 변’) 와 구토, 탈수, 근육..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 정의·증상·진단검사(임상병리 중심) 한줄 요약: 임신성 당뇨는 임신 중 처음 진단되는 고혈당 상태로, 24–28주에 선별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표준이며, 확진은 경구당부하검사(OGTT)로 합니다. 1) 임신성 당뇨가 뭔가요? (간단)임신 중 처음 발견되는 고혈당 상태를 말합니다. 산모·태아에 합병증(거대아, 분만합병증, 산모의 임신중독증·제왕절개율 증가 등) 위험을 높이므로 조기 선별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2) 누가 검사받아야 하나요 / 언제 검사하나?모든 임신부는 보통 임신 24–28주 사이에 선별검사를 권장합니다. 고위험군(비만, 이전 GDM, 가족력 등)은 임신 초기에 먼저 선별할 수 있습니다. 3) 실제 검사 흐름(..
난소암이란? 원인·증상·임상병리 검사를 중심으로 한 진단 가이드나는 의료재단 소속으로 매일 수십 개의 병원과 의원을 돌며 다양한 환자와 질환을 접하고 있다.최근 여성 환자들과 대화를 나누다 보면 “난소암 검사 좀 해야 하나요?”라는 질문을 자주 듣는다.난소암은 초기 증상이 모호해서 진단이 늦는 경우가 많아, 조기 발견을 위해 검사 흐름과 그 의미를 잘 아는 것이 중요하다.이번 글에서는 다음을 중점으로 정리해본다:난소암의 정의 및 특징주요 위험요인 및 증상진단을 위한 임상병리 검사들(종양표지자 등)검사 해석 시 주의점임상 경험에서 느낀 팁 1. 난소암 개요 & 특징난소암은 난소 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통칭한다. 특히 상피성(epithelial) 난소암이 전체 난소암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문제는 ..
